- 가을학기 참여 학생 등 약 150명 대상으로 교류의 장 마련… 지난학기 성과 및 프로젝트 목표 공유
- KAIST・서울대・가천대서 캠퍼스별 특화 교육 진행… 모든 수업에 바이브 코딩 특강 도입
- 사회혁신가 6인이 발제한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돕는 기술’ 솔루션 개발에 나설 예정
[2025-09-01] 카카오(대표이사 정신아)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30일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테크포임팩트 캠퍼스’의 2025년 2학기 개강 워크숍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일 밝혔다.
카카오임팩트가 주관하는 ‘테크포임팩트 캠퍼스’는 학생과 비영리 기관을 연결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솔루션을 기획·개발하는 프로젝트형 수업으로, AI 시대에 필요한 ‘돕는 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번 봄학기에는 연세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했고 가을학기에는 KAIST・서울대학교・가천대학교에서 강의를 이어간다.
이날 개강워크숍에는 2학기 참여 학생 120명, 사회혁신가인 브라이언 펠로우, 카카오 현업 멘토 등 총 150여 명이 자리했으며, 카카오임팩트 류석영 이사장과 교수진이 학생들의 ‘돕는 기술’ 개발 여정을 응원했다.
먼저 ‘캠퍼스에 돕는 기술이 필요한 이유’를 주제로 한 오프닝 세션을 시작으로, 지난 학기 참가자인 한양대학교 박유빈 학생과 연세대학교 정준영 학생의 경험 공유가 이어졌다. 실제 1학기에는 연세대와 한양대에서 총 86명의 학생과 5명의 사회혁신가가 참여해 16개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이 중 7개가 2학기 후속 개발을 앞두고 있다. 특히 전공 간 융합이 활발해지면서 인문·사회계 학생들의 참여가 확대되고, 현장 적용 가능한 수준의 프로토타입도 다수 탄생했다.
이어 사회혁신가인 브라이언 펠로우 6인이 ▲무포장 리필 문화의 기술 확장 ▲다회용기 순환 시스템 개선 ▲발달장애인 지역 돌봄 기술 ▲농사 기반 돌봄 기술 기록 ▲시민참여형 이동약자 데이터 수집 ▲지방자치 공론자 데이터화를 주제로 학생들과 함께 해결하고 싶은 사회 문제를 공유했다. 학생들은 이를 기반으로 카카오 개발자 멘토 25명과 함께 한 학기 동안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번 학기는 캠퍼스별로 특화 교육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천대학교는 창업 특화 기관 ‘스타트업칼리지’와 협력하여 창업 중심 수업을, 서울대학교는 사회과학대학과 협력해 인문계 학생들이 사회문제 해결에 IT 기술을 활용하는 융합교육을, KAIST는 전산학부와 전기및전자공학부 공동 개설로 학부 간 시너지를 확대하는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또한, 모든 수업에 카카오 황민호 리더가 진행하는 ‘바이브 코딩 특강’을 도입해 학생들의 AI 내러티브 역량과 코드 구현력을 동시에 강화한다.
카카오임팩트 류석영 이사장은 “사회혁신가가 발제한 사회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이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변화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테크포임팩트 캠퍼스를 통해 AI 시대에 필요한 미래 인재들을 양성하는 데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테크포임팩트 캠퍼스는 2023년 KAIST에서 시작해 2025년에는 총 5개 대학으로 확대되었으며, 학생 참여 규모 역시 2023년 55명에서 2025년 200명 이상으로 크게 증가했다. 카카오임팩트와 사회혁신가, 기업, 대학이 함께 참여하는 Collective Impact 모델을 통해 캠퍼스를 거점으로 돕는 기술을 실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 변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끝)
[참고]
테크포임팩트 공식 홈페이지 https://techforimpact.io